🇰🇷 한국은 지진 안전지대일까? 알고 보면 가장 위험한 지역은…
최근 몇 년 사이 우리나라에서 지진이 점점 자주, 그리고 강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과거엔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라는 말이 많았지만,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 지진 이후 사람들의 인식이 크게 바뀌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지진을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닌, ‘우리 모두가 준비해야 할 일’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 우리나라 지진 발생 빈도, 얼마나 잦을까?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연평균 70회 이상 발생합니다.
이 중 규모 3.0 이상 지진도 10회 이상 발생하고 있어, 단순히 “드물게 일어난다”고 보기엔 어려운 수치입니다.
최근엔 서해, 전북, 충북 등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도 발생해 국민의 불안을 키우고 있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213335&ref=A
전남 여수시 거문도 부근 해역에서 규모 2.5 지진
오늘(29일) 새벽 5시 37분에 전남 여수시 거문도 부근 해역에서 규모 2.5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지진의 ...
news.kbs.co.kr
📌 역사 속 큰 지진 사례들
- 🔸 779년 경주 지진
신라 시대 기록에 따르면, 당시 10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규모는 6.7~7.0으로 추정되며, 한반도에서 기록된 지진 중 가장 강력한 수준입니다. - 🔸 1978년 홍성 지진
기상청이 계기 관측을 시작한 이후 첫 대형 지진. 규모 5.0, 충남 지역 건물 수백 동에 균열 발생. - 🔸 2016년 경주 지진
국내 계기 관측 이후 가장 강한 지진으로 규모 5.8. 전국이 흔들릴 정도였고, 건물 파손, 정전, 문화재 훼손 등 피해가 컸습니다. - 🔸 2017년 포항 지진
규모 5.4, 당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연기되는 초유의 사태 발생. 건물 붕괴, 수백 명 이재민 발생, 도시 전반에 큰 충격을 줬습니다. - 🔸 2024년 부안 지진
전북 부안 규모 4.8, 전북·전남 지역에서 관측된 최대 지진. 기존에 “지진 안전 지역”이라 불리던 호남에서도 강한 지진이 발생하며 전국적인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그럼, 앞으로 어디서 지진이 날 가능성이 클까?
① 영남 지역 (경북·경남권)
- 이유: 양산단층대 등 여러 활성 단층이 분포
- 대표 지진: 경주(2016), 포항(2017)
- 위험성: 현재까지도 미세한 여진이 계속되고 있음
② 대구 지역
- 이유: 대도시 중 최대지반가속도(PGA)가 가장 높음
- 잠재 위험도: 규모 6 이상 지진 가능성
- 주의 이유: 인구 밀집지역이라 피해가 클 수 있음
③ 충남 서북부·경기 남서부
- 이유: 경기지괴 경계선 인근, 비교적 활성 단층 다수
- 과거 사례: 홍성(1978), 최근 미세 지진 잦음
④ 북한 평양 및 황해북도 지역
- 이유: 두꺼운 퇴적층과 단층 활동이 활발
- 과거 사례: 1952년 강서 지역에서 규모 6.3 지진 발생
- 우리나라 영향:
- 북한 중부에서 큰 지진이 발생하면, 수도권·강원도·충북·경북 북부에서 진도 4~5 이상 흔들림 가능
- 특히 수도권 고층 건물이나 노후 주택은 진동 피해 발생 우려
📌 한국은 정말 지진 위험국일까?
많은 사람이 “한반도는 판 경계에서 떨어져 있어서 안전하다”고 말하지만, 지금은 활성 단층이 존재하고, 그 단층에서 에너지가 축적되는 지각 내 지진이 더 위험하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도 “한반도는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 우리가 해야 할 일은?
- ✅ 내진설계가 적용된 건물에서 거주하는지 확인하기
- ✅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 익히기 (탁자 밑 숨기, 엘리베이터 X, 가스 밸브 차단 등)
- ✅ 휴대용 라디오, 손전등, 생수 등 지진 대비 키트 준비하기
- ✅ 지역 내 지진 대피소 위치 확인해 두기
✅ 결론
한반도는 더 이상 지진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특정 지역만 위험한 것도 아닙니다.
우리 모두가 대비해야 합니다.
지진은 예측이 어렵지만, 피해를 줄이는 대비는 분명히 가능합니다.
https://d.kbs.co.kr/prepare/tips?gubun=001
KBS 재난포털
재난안전 콘텐츠 허브
d.kbs.co.kr
https://www.weather.go.kr/w/eqk-vol/search/korea.do
국내지진조회 - 기상청 날씨누리
개편된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지도를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와 레이더영상, 전국 특보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내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과 대기질 상태, 일출/일몰 시각을 확인할 수
www.weather.go.kr
'유용한 생활 정보 & 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매일 먹는 그것… 알고 보면 식중독 위험 덩어리 (1) | 2025.03.31 |
---|---|
🚤 경인아라뱃길과 🌸 매화동산, 꽃구경 어디로 갈까? 인천 김포 매화 명소 추천, 2025년 3월 29일 현재 개화 정도 (4) | 2025.03.29 |
💡 혈액형에서 MBTI까지, 우리는 왜 성격 유형을 궁금해할까? (1) | 2025.03.29 |
🌬️ 봄이면 찾아오는 황사, 피할 수 없을까? (0) | 2025.03.28 |
산불 피해 복구, 무엇부터 해야 할까? 정부 보상 등 총정리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