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10

국민연금 기초, 꼬박꼬박 내면서 아직 이것도 모르고 있었다면?

1. 국민연금은 누구나 가입해야 하나요?만 18세 이상 ~ 만 60세 미만의 모든 국민은 의무가입 대상입니다. 직장인은 자동 가입되며, 프리랜서·자영업자·전업주부는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60세 이후에는 임의가입 또는 임의계속가입으로 연장 가능합니다. https://amitheonlyone1.tistory.com/entry/%EA%B5%AD%EB%AF%BC%EC%97%B0%EA%B8%88-QA-110-%EA%B5%AD%EB%AF%BC%EC%97%B0%EA%B8%88-%EA%BC%AD-%EB%82%B4%EC%95%BC-%ED%95%A0%EA%B9%8C-%EC%A7%81%EC%9E%A5%EA%B0%80%EC%9E%85%EC%9E%90%EC%99%80-%EC%A7%80%EC%97%AD%EA%B0%80%EC%9..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 완벽 비교! 노후를 위한 연금 3종 세트 전략

퇴직연금과 국민연금, 개인연금 차이 명확히 이해하기 : 3대 연금제도 비교와 통합 전략 노후 준비를 위한 연금 제도는 크게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세 가지로 나뉩니다.이 중 하나만으로는 노후생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세 가지 연금을 적절히 조합해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세 가지 연금 제도의 기본 개념 비교구분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성격공적 연금 (국가 운영)반공적 연금 (기업 운영)사적 연금 (개인 선택)운영 주체국민연금공단기업 + 금융회사금융회사가입 여부의무가입근로자 대상, 반의무자율가입납입 주체개인 + 회사 (또는 개인 단독)주로 회사 (IRP는 본인 추가 납입)전적으로 본인수령 시기만 63세부터점진적 상향 예정퇴직 후 만 55세부터만 55세 이후지급 방식종신형연금형 ..

국민연금 Q&A 71~80 우리가 낸 돈, 도대체 수익은 나고 있는거야?

국민연금 보험료는 단지 적립만 되는 것이 아닙니다. 수십 년 후를 대비하기 위해 이 자금은 적극적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현재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투자기관으로, 2025년 기준으로 약 1,000조 원이 넘는 기금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Q1. 국민연금 보험료는 어디에 투자되고 있나요?국민연금은 기금운용본부를 통해 보험료를 주식, 채권, 대체투자(부동산·인프라·사모펀드 등)에 분산 투자합니다. Q2. 국민연금의 최근 수익률은 어떻게 되나요?국민연금의 수익률은 매년 국내외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2021년은 +10.86%로 우수했으나 2022년에는 글로벌 금융시장 침체로 -8.22%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2023년은 다시 +9.63%로 회복세를 보였고, 2024년 잠정치는..

국민연금 고갈 위기의 진실: 적게 내고 많이 받는 사람이 문제다?

왜 국민연금은 고갈 위기에 처했는가? 국민연금은 1988년부터 도입되어 지금까지 약 30여 년간 운영되고 있습니다. 처음 도입 당시에는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가 ‘젊은층이 많고 노인은 적은’ 전형적인 성장기 사회였습니다. 당시에는 일하는 사람이 많고, 연금을 받는 사람은 적었기 때문에 수입이 지출보다 많아 ‘기금 흑자’ 상태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정반대입니다.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0.7명대)이고,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전체의 약 18%를 넘어섰으며, 2030년이면 25%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낼 사람은 줄고, 받을 사람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구조입니다. 여기에 더해, 현재 연금제도는 보험료율은 9%에 불과한 반면, 소득대체율(받는 금액)은 최대 40%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국민연금 Q&A 51~60 국민연금 '반환일시금'이 뭐야?

Q51. 반환일시금은 어떤 경우에 받을 수 있나요? 국민연금의 반환일시금은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갖추지 못한 사람이 납부한 보험료를 일시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다음과 같은 경우에 반환일시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인 채로 60세 도달노령연금은 원칙적으로 10년 이상 납부해야 수령 가능10년 미만인 상태로 60세가 되면 연금 수급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환일시금 청구 가능2. 국적 상실 또는 외국 이민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하거나, 외국인으로서 귀국한 경우외국 국적자도 납부 이력이 있고 한국과 사회보장협정이 없는 국가일 경우 반환 가능📌 3. 사망 (유족이 청구)사망자의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이거나, 유족연금 수급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또는 유족이 유족연금을..

국민연금 Q&A 41~50 해외에 살아도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

Q41. 해외에 살고 있어도 국민연금을 계속 받을 수 있나요? 네. 해외에 거주하고 있어도 연금 수급권을 가진 사람이라면 전 세계 어디서든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생존신고 절차를 정기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Q42. 국민연금 수령을 위해 해외에서도 생존신고를 해야 하나요?네. 해외 거주자는 매년 1회 생존확인서(Certificate of Existence)를 국민연금공단에 제출해야 합니다. 현지 대사관, 총영사관 또는 시청 등 공공기관에서 발급받아 공증받은 서류로 제출 가능합니다. Q43. 국민연금을 해외에서 어떻게 수령하나요? 계좌 등록 방법은?해외 계좌로 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국민연금공단에 해외송금신청서를 제출하고, 해외은행의 SWIFT 코드, IBAN, 계좌번호 등을 등록해야 합니다. ..

국민연금 Q&A 31~40 맞벌이 부부 국민연금 A부터 Z까지!

Q31. 맞벌이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을 납부하면, 나중에 둘 다 연금을 받을 수 있나요?네, 부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보험료를 납부했다면, 각자의 노령연금을 따로 받게 됩니다.예를 들어 남편이 65세부터 월 90만 원, 아내가 62세부터 월 80만 원을 수령하면, 합산해서 월 17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단독 생계보다 연금 총액이 커진다배우자 사망 시 유족연금 일부 수령 가능연기 수령·조기 수령 조합으로 전략적 노후 설계 가능 Q32.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 수급 중인데, 한쪽이 사망하면 유족연금은 받을 수 있나요?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유족연금과 본인의 노령연금을 동시에 전액 받는 것은 불가능합니다.더 많은 연금액은 전액, 더 적은 연금액은 30~60%까지만 수령 가능합니다.예를 들어, 유족..

국민연금 Q&A 21~30 국민연금 조기수령 vs 연기수령, 어느 쪽이 이득일까?

Q21. 국민연금은 몇 살부터 받을 수 있나요?국민연금의 수령 개시 연령은 출생연도에 따라 다릅니다.2025년 기준으로, 1969년 이후 출생자는 만 65세부터 수령 가능합니다.출생연도수령 개시 연령1953년 이전만 60세1953~1956년만 61세1957~1960년만 62세1961~1964년만 63세1965~1968년만 64세1969년 이후만 65세 Q22. 국민연금을 조기수령할 수 있나요? 가능하다면 언제부터인가요?가능합니다. 국민연금은 정상 수령 연령보다 최대 5년까지 조기수령이 가능합니다.예를 들어, 만 65세가 개시 연령이라면 만 60세부터 조기수령이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일 것수령 개시 연령보다 최대 5년 앞당긴 나..

국민연금 Q&A 11~20 주부·프리랜서도 국민연금 받을 수 있나요? | 임의가입부터 납부전략까지

---------------------국민연금 임의가입과 추가납입(추납)제도 요약임의가입이란?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이 아닌 만 18~60세 국민이 자발적으로 가입하는 제도입니다.전업주부, 구직자, 소득이 없는 프리랜서 등이 해당되며, 국민연금공단 지사 또는 온라인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연금 수급을 위한 최소가입기간(10년)을 채우는 데 유용합니다.추납제도란?과거 납부하지 못한 기간의 보험료를 소급 납부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군복무, 실업, 유학, 출산 등으로 인해 납부하지 못한 기간을 보완할 수 있으며, 현재 기준소득월액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납부액이 클 수 있습니다.국민연금 납부 예외·유예 신청 요약납부예외실직, 소득 없음 등의 사유로 납부가 어려운 경우 일정 기간 납부 면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이 ..

국민연금 Q&A 1~10 국민연금 꼭 내야 할까?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차이점

Q1. 국민연금이란 무엇인가요? 국민연금은 대한민국 국민의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운영되는 대표적인 공적 연금제도*입니다. 일정 기간 동안 보험료를 납부하면, 노후에 연금 형태로 급여를 받을 수 있어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합니다. * 공적 연금제도란 정부나 공공기관이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회보장제도로, 국민의 노후 소득 보장과 생활 안정을 목적으로 합니다. 대표적으로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등이 있으며, 사회적 위험에 대비하여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합니다. Q2. 국민연금은 왜 내야 하나요? 국민연금은 개인의 노후 생활 안정을 위한 제도입니다.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등의 급여를 통해 생애 전반에 걸쳐 다양한 위험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민 전체의 연대 책임을 바탕으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