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 나오는 입시 이야기

부모가 처음 만나는 대입 입시 용어 쉽게 정리

나만궁금해?! 2025. 5. 15. 10:18
반응형

 

 

 

'처음 입시를 접하면 생소한 단어들이 많습니다.

알아들으려면 용어는 기본이겠죠? 

 

저도 처음이라..

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 

 

 

1. 수시 / 정시

  • 수시
    고3 9~11월 사이에 원서 접수, 내신(학교 성적) + 활동 + 면접 등으로 선발
    수능 최저 기준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특징: 학생부 중심. 내신이 중요
  • 정시
    수능 이후(12월 말~1월) 수능 성적으로 선발
    특징: 수능 100% or 수능 + 면접/실기 조합

 

2. 학생부교과전형 / 학생부종합전형(학종)

  • 학생부교과전형
    고등학교 내신 성적만 보고 뽑는 전형
    대부분 지방 국공립대, 중위권 대학에서 운영
  • 학생부종합전형 (줄여서 학종)
    내신 + 비교과(동아리, 봉사, 독서, 진로 활동 등) 전반을 종합 평가
    서류 평가 + 면접 포함
    자기소개서는 2025년부터 폐지

 

3. 생활기록부(학생부)

  • 초등학교~고등학교까지 선생님이 작성해주는 공식 학교 기록부
  • 고등학생 때의 내용은 대입에 직접 반영
  • 독서 활동, 동아리, 봉사활동, 진로희망, 탐구활동 등 기록됨

 

4. 내신(학교 성적)

  • 고등학교 중간·기말고사 등 성적의 상대평가
  • 등급은 1등급부터 9등급까지
  • 내신은 1학년 때부터 반영되므로 고1이 시작되면 바로 중요해짐

 

5. 수능(대학수학능력시험)

  • 매년 11월 중순경에 실시되는 전국 단일 시험
  • 국어, 수학, 영어, 탐구(과학/사회), 제2외국어 영역
  • 대학 정시 전형의 핵심

 

6. 모의고사

  • 고등학생들이 보는 수능 예행연습
  • 고1부터 연 4~6회 실시
  • 수능과 비슷한 구조로 진행되며 자신의 위치 파악에 중요

 

7. EBS 연계교재

  • 수능 출제기관에서 연계하는 공식 교재
  • 수능 문제의 일부가 EBS 교재에서 출제됨
  • 고1부터 활용 가능

 

8. 고교학점제

  • 2025년부터 전면 도입
  • 대학처럼 학생이 과목을 선택해서 이수함
  • 자신의 진로에 맞게 맞춤형 수업 선택 가능
  • 선택 과목의 내신 성적도 입시에 반영

 

9. 면접전형

  • 일부 전형에서는 면접이 포함됨
  • 단순 인성 질문부터 전공적합성, 교과 질문까지 다양
  • 학종에서 자주 포함, 정시에서도 일부 대학 실시

 

10. 논술전형

  • 논술 시험을 통해 선발하는 전형
  • 수능 최저학력기준과 함께 적용되는 경우가 많음
  • 주로 상위권 일부 대학에서 운영

 

11. 정량평가 / 정성평가

  • 정량평가: 점수로 딱 나오는 평가 (예: 내신, 수능)
  • 정성평가: 내용과 맥락을 보고 평가 (예: 학생부의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기록 등)

 

12. 자기소개서(자소서)

  • 과거에는 학종에서 자기소개서를 제출했지만, 2025학년도 입시부터 전면 폐지됨
  • 대신 면접과 생활기록부 중심으로 학생을 평가

 

13. 탐구과목

  • 수능에서 선택하는 사회/과학 과목, 예) 사회(생활과윤리, 사회문화 등) / 과학(지구과학1, 화학1 등)

 

14. 수능 최저학력기준 (수능 최저)

  • 수시 전형 중 일부 대학은 "수능도 이 정도는 받아야" 지원 가능,  예) 국수탐 합 6등급 이내 등

 

15. 블라인드 평가

  • 지원자 이름, 학교, 지역 등을 가리고 평가하는 방식
  • 학종의 공정성 강화를 위해 시행됨

 

 

처음에는 어렵지만, 하나씩 익히면 금방 익숙해질 거라고 믿습니다. 

용어가 조금 익숙해졌다면, 다음부터는 조금 깊게 들어가볼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