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처음 입시를 접하면 생소한 단어들이 많습니다.
알아들으려면 용어는 기본이겠죠?
저도 처음이라..
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
1. 수시 / 정시
- 수시
고3 9~11월 사이에 원서 접수, 내신(학교 성적) + 활동 + 면접 등으로 선발
수능 최저 기준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특징: 학생부 중심. 내신이 중요 - 정시
수능 이후(12월 말~1월) 수능 성적으로 선발
특징: 수능 100% or 수능 + 면접/실기 조합
2. 학생부교과전형 / 학생부종합전형(학종)
- 학생부교과전형
고등학교 내신 성적만 보고 뽑는 전형
대부분 지방 국공립대, 중위권 대학에서 운영 - 학생부종합전형 (줄여서 학종)
내신 + 비교과(동아리, 봉사, 독서, 진로 활동 등) 전반을 종합 평가
서류 평가 + 면접 포함
자기소개서는 2025년부터 폐지
3. 생활기록부(학생부)
- 초등학교~고등학교까지 선생님이 작성해주는 공식 학교 기록부
- 고등학생 때의 내용은 대입에 직접 반영
- 독서 활동, 동아리, 봉사활동, 진로희망, 탐구활동 등 기록됨
4. 내신(학교 성적)
- 고등학교 중간·기말고사 등 성적의 상대평가
- 등급은 1등급부터 9등급까지
- 내신은 1학년 때부터 반영되므로 고1이 시작되면 바로 중요해짐
5. 수능(대학수학능력시험)
- 매년 11월 중순경에 실시되는 전국 단일 시험
- 국어, 수학, 영어, 탐구(과학/사회), 제2외국어 영역
- 대학 정시 전형의 핵심
6. 모의고사
- 고등학생들이 보는 수능 예행연습
- 고1부터 연 4~6회 실시
- 수능과 비슷한 구조로 진행되며 자신의 위치 파악에 중요
7. EBS 연계교재
- 수능 출제기관에서 연계하는 공식 교재
- 수능 문제의 일부가 EBS 교재에서 출제됨
- 고1부터 활용 가능
8. 고교학점제
- 2025년부터 전면 도입
- 대학처럼 학생이 과목을 선택해서 이수함
- 자신의 진로에 맞게 맞춤형 수업 선택 가능
- 선택 과목의 내신 성적도 입시에 반영
9. 면접전형
- 일부 전형에서는 면접이 포함됨
- 단순 인성 질문부터 전공적합성, 교과 질문까지 다양
- 학종에서 자주 포함, 정시에서도 일부 대학 실시
10. 논술전형
- 논술 시험을 통해 선발하는 전형
- 수능 최저학력기준과 함께 적용되는 경우가 많음
- 주로 상위권 일부 대학에서 운영
11. 정량평가 / 정성평가
- 정량평가: 점수로 딱 나오는 평가 (예: 내신, 수능)
- 정성평가: 내용과 맥락을 보고 평가 (예: 학생부의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기록 등)
12. 자기소개서(자소서)
- 과거에는 학종에서 자기소개서를 제출했지만, 2025학년도 입시부터 전면 폐지됨
- 대신 면접과 생활기록부 중심으로 학생을 평가
13. 탐구과목
- 수능에서 선택하는 사회/과학 과목, 예) 사회(생활과윤리, 사회문화 등) / 과학(지구과학1, 화학1 등)
14. 수능 최저학력기준 (수능 최저)
- 수시 전형 중 일부 대학은 "수능도 이 정도는 받아야" 지원 가능, 예) 국수탐 합 6등급 이내 등
15. 블라인드 평가
- 지원자 이름, 학교, 지역 등을 가리고 평가하는 방식
- 학종의 공정성 강화를 위해 시행됨
처음에는 어렵지만, 하나씩 익히면 금방 익숙해질 거라고 믿습니다.
용어가 조금 익숙해졌다면, 다음부터는 조금 깊게 들어가볼게요.
반응형
'한숨 나오는 입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에서 진로 탐색을 소홀히 하면, 고등학교에서 후회할 수 있다? (4) | 2025.05.20 |
---|---|
초등 고학년부터 준비하는 '학생부종합전형' 완벽 가이드 (3) | 2025.05.19 |
중학교 자유학년제와 고교학점제, 도대체 어떻게 연결되나요? (3) | 2025.05.18 |
자유학년제, 도대체 뭘 자유롭게 해준다는 거야? (8) | 2025.05.17 |
고교학점제, 우리 아이 진로를 못 정했는데, 과목부터 고르라고요? (2)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