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경제 이야기 31

동전주 투자, 기회인가 함정인가?

500원짜리 주식, 동전주의 진실 “동전주에 투자해도 될까요?”요즘 적은 자금으로도 투자를 시작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동전주’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0216194779831 "1000원도 안해?" 덜컥 샀다가는…30% 늘어난 동전주, 상폐 이어지나 - 머니투데이국내 증시에서 이른바 '동전주'(주가가 1000원 미만인 주식)가 최근 1년간(2024년 4월30일~2025년 4월30일) 약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둔화와 미국발 관세 리스크로 증시 변동성이 커지며 주news.mt.co.kr 동전주란 무엇인가? ‘동전주’란 말 그대로 주당 가격이 1,000원 미만인 주식을 의미합니다.이름처럼 동전 몇 개..

ETF로 번 돈도 세금 낼 수 있어요. 나도 모르게 종합소득세 대상?

ETF 투자 많이 하시죠? ETF 투자를 하다 보면 수익이 생깁니다. 그런데 이 수익 중 일부는 '배당금'으로 세금이 매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모르고 투자했다가는 나중에 깜짝 놀랄 일이 생깁니다. ㅠㅠ혹시 저만 모르고 있었을까요.... '분배금'을 받는 것도 아닌데 왜 배당소득이냐고요? 이 내용은 조금 복잡하지만, 제대로 알아두면 나중에 종합소득세 폭탄을 피할 수 있습니다.여기서는 일단 국내 ETF에 대해서만 얘기해볼께요. 시작하기 전에, ETF가 뭔지부터 정리하고 갈께요. ETF(상장지수펀드)는 여러 종목을 한 번에 담은 '종합주식 세트'를 주식처럼 사고파는 상품이에요.예를 들어,KOSPI200 ETF는 코스피 상위 200개 기업에 나눠서 투자미국 나스닥100 ETF는 미국의 빅테크 기업 10..

세금 아예 안 내는 통장? 지금도 가입 가능한 비과세 계좌 총정리

1원의 세금도 용납할 수 없다!!너무 이기적인 말이죠?어쨌든 서민의 입장에서 조금이라도 절세할 방법을 찾아야 하니, 이번에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상품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은행이나 투자로 이자를 받거나 돈을 벌면 보통 세금을 내야 합니다. 그런데 ‘비과세 계좌’는 말 그대로 세금을 아예 안 내도 되는 특별한 통장이에요.나라에서 "이건 꼭 장려하고 싶다!"는 이유로 만든 거라고 할 수 있어요. 1.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이건 어떤 통장인가요?여러 금융상품(예금, 펀드, 주식 등)을 한 계좌에 모아서 관리하고, 거기서 번 이익에 대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만능 통장"입니다. -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일반형:만 19세 이상 거주자만 15세 이상, 19세 미만 근로소득..

세금 아끼는 똑똑한 통장 3가지! 지금도 가입 가능해요!

요즘 금융 공부를 새로 하다 보니, 정말 몰랐던 내용이 너무 많았구나 싶습니다.대충 이렇겠지~ 하며 남들이 가입하라니까 가입하고, 돈 넣으라니까 넣고, 월급에서 세금 떼어가니 그런가보다 하고, 연말정산할 때 공제해주니까 또 그렇구나 했습니다. 하나씩 찾아보다 보니, 금융상품이든, 관련된 세금이든 공부하지 않으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마냥 좋은 것만 있지는 않다는 사실! 그래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입사 1년차의 마음으로 돌아가 공부해보기로 합니다. 그리고 그동안 막 사용했던 용어들도 다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은행에 돈을 넣고 이자를 받거나, 주식이나 펀드로 돈을 벌면 나라에 세금을 내야 합니다. 그런데 나라에서 “앞으로를 위해 열심히 준비하는 사람은 세금을 조금 덜 내도 된다”고 혜택을..

이미 근로소득세를 냈는데, 금융소득에 왜 또 세금을 내야 할까?

왜 금융상품 투자 수익에도 세금을 또 내야 할까? 1. 세금은 "소득이 발생할 때마다" 부과된다 세금은 "최초 자금의 출처"에 부과하는 게 아니라, "각각 소득이 새롭게 발생할 때마다" 부과하는 구조입니다.즉, 근로를 통해 노동 소득을 얻었을 때 소득세를 내고, 투자해서 금융 소득(배당, 이자, 매매차익)이 새로 생기면 그 소득에 대해 다시 세금을 내야 하는 것입니다. 근로소득세와 금융소득세는 과세 대상이 다릅니다. 근로소득세는 일해서 벌어들인 소득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월급, 상여금, 퇴직금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금융소득세는 자산(돈)이 벌어들인 소득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예금 이자, 채권 이자, 주식 배당금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즉, "일해서 번 돈"과 "돈이 일해서 번 돈"은 서로 다른 ..

2025년 건강한 고배당주 TOP10 | 배당으로 돈 버는 안전한 방법

건강한 고배당 기업을 고르는 정확한 기준 1. 지속 가능한 이익을 꾸준히 내는가? (수익성)회사가 매년 안정적으로 이익을 내야 배당을 유지하거나 늘릴 수 있습니다.일회성 이익(예: 부동산 매각)으로 배당하는 회사는 위험합니다. 확인하는 방법:최근 5년 이상의 순이익 추이를 살핀다.매년 큰 적자가 없고, 이익이 우상향하거나 일정하게 유지되는 회사가 좋다.대표적인 지표:영업이익률(Operating Margin)순이익(Net Income) 증가 여부 2. 배당성향(Dividend Payout Ratio)이 적정한가? 배당성향이란 순이익 대비 얼마를 배당금으로 나눠주는지의 비율을 말합니다. 보통 30%~70% 정도를 적정한 범위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30% 미만이면 너무 인색한 회사일 수 있고 80~90% ..

배당소득세 내지 않는 경우 또 있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 배당금 이야기

“자본준비금에서 나오는 배당은 왜 세금을 안 내도 되는 걸까?”이걸 이해하려면, 먼저 회사 돈의 ‘종류’를 이해해야 합니다. 1. 회사 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이익잉여금회사가 장사를 잘해서 번 돈입니다. 이걸로 배당하면 세금을 내야 합니다. “장사해서 번 돈이니까, 세금 조금 내~”라고 하는 거죠.- 자본잉여금 (자본준비금)이건 벌어서 생긴 돈이 아니에요.예를 들어, 투자자들이 회사를 믿고 주식을 비싸게 사준 덕분에 생긴 보너스 같은 돈입니다. 또는 회사를 시작할 때 모은 씨앗돈(자본금) 중 일부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부는 “이건 너네가 장사해서 번 돈은 아니잖아, 그럼 굳이 세금은 안 받아도 돼~” 라고 하는거죠. 2. 법도 한 번 살펴볼까요?법인세법에서는 자본준비금으로 받은 배당금은 세금..

배당금 관련, 초보자들이 정말 많이 하는 실수 5가지

배당금으로 생활비를 만들고 싶은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내용! 1. 배당기준일과 매수일(T+2)을 헷갈린다 배당기준일에만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고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배당기준일 ‘이틀 전’까지 주식을 사야 합니다.이는 매수 후 2영업일 뒤에야 주주로 등록되기 때문입니다. (T+2 제도) 예를 들면, 배당기준일이 12월 31일이면 12월 27일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요. 2. 배당금을 받으면 무조건 이득이라고 착각한다 배당금을 받으면 좋은 것 같지만, 그 다음 날 주가가 배당금만큼 떨어진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배당락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주가 하락분 + 배당금을 합쳐서 전체 가치를 봐야 합니다. 3. 세금(15.4%)을 계산하지 않고 기대 수익을 잡는다 배당금은..

배당소득세의 모든 것 (2025년 최신판)

1. 배당소득세란? 배당소득세는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에게 나눠줄 때(배당금 지급), 주주가 그 배당금을 소득으로 얻는 경우 그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쉽게 말하면, "배당금은 돈 버는 거니까, 세금 좀 내세요!" 하는 거예요. 2. 배당소득세 세율 배당소득은 금융소득에 포함됩니다.세율은 총 15.4%로,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국세 14%- 지방소득세 1.4% (국세의 10%)즉, 배당금 수령 시 증권사가 알아서 배당금의 15.4%를 세금으로 떼고 준다는 뜻입니다.3. 이자소득세와 배당소득세랑 뭐가 달라?구분이자소득세배당소득세발생 원천예금, 적금, 채권 등에서 발생한 이자주식의 배당금과세 방법15.4% 원천징수15.4% 원천징수금융소득 종합과세 여부적용적용특별사항없음해외 배당, 주식배당 등 ..

주식 배당금 Q&A, 이걸로 먹고 사는 사람들도 있다는데?

Q1. 배당금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배당금은 회사가 장사를 해서 남긴 이익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돈입니다.쉽게 말해, 회사가 잘 벌면 주인들(주식 가진 사람들)에게 “고마워요!” 하고 돈을 나눠주는 개념이에요. Q2. 배당금을 받기 위해 주식을 언제까지 가지고 있어야 하나요? 배당 기준일이 뭐예요?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주식을 사면 바로 주주가 되는 게 아니라 2일 뒤에 주주로 등록됩니다.그래서 기준일 2일 전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주식을 가지고 있다가 팔았는데 배당금 받을 수 있을까요? 네,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면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12월 31일을 배당기준일로 정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