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2

꼭 먹어야 할 5월 제철 요리, 제철 음식 10가지, 몸이 가벼워지는 계절 밥상

계절이 바뀌면 식탁도 바뀌는게 당연하겠죠?봄의 끝자락인 5월은 일교차가 크고, 몸이 쉽게 지치기 쉬운 시기이므로, 자연이 주는 ‘계절 요리’로 몸을 다독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철 요리는 제철 약이다” 1. 완두콩밥, 속 편하고 봄기운 가득한 한 끼 완두콩은 5월이 딱 제철입니다.콩의 단맛이 최고조로 오르는 시기이며, 식이섬유가 풍부해 소화가 잘되고 포만감이 오래갑니다. 함께 먹으면 좋은 반찬: 간장 달걀장, 오징어젓갈완두콩에 들어 있는 주요 영양소와 효능: 단백질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여 근육 유지, 성장, 면역력 강화에 도움식이섬유장 건강 증진, 변비 예방, 혈당 조절, 포만감 유지비타민 C항산화 작용, 면역력 강화, 피로 회복, 철분 흡수 촉진비타민 K혈액 응고에 관여, 뼈 건강 유지비타민 B..

14억 아파트 가지고 있으면 서민일까, 부자일까?

우리가 끊임없이 궁금해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대체 나는 서민일까? 부자일까?대체 얼마가 있어야 부자인 걸까?대체 얼마짜리 집이 있어야 부자라고 하는 걸까?나는 상위 %의 부자인가?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지만 우리는 늘 궁금하고 그래서 찾아보고, 남들과 비교하고, 좌절하곤 합니다. 서울 집값 14억 시대, ‘서민’의 기준은 어디까지일까?2025년, 서울의 평균 아파트 가격은 어느덧 14억 원에 육박했습니다. 한때 '억' 소리 나던 집값이 이젠 일상처럼 들리지만, 이 숫자가 주는 심리적 파장은 여전히 큽니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28_0003155866 13억2965만원…서울 아파트 집값 평균 13억 넘어섰다[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4월 전국 집값이..

이미 근로소득세를 냈는데, 금융소득에 왜 또 세금을 내야 할까?

왜 금융상품 투자 수익에도 세금을 또 내야 할까? 1. 세금은 "소득이 발생할 때마다" 부과된다 세금은 "최초 자금의 출처"에 부과하는 게 아니라, "각각 소득이 새롭게 발생할 때마다" 부과하는 구조입니다.즉, 근로를 통해 노동 소득을 얻었을 때 소득세를 내고, 투자해서 금융 소득(배당, 이자, 매매차익)이 새로 생기면 그 소득에 대해 다시 세금을 내야 하는 것입니다. 근로소득세와 금융소득세는 과세 대상이 다릅니다. 근로소득세는 일해서 벌어들인 소득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월급, 상여금, 퇴직금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금융소득세는 자산(돈)이 벌어들인 소득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예금 이자, 채권 이자, 주식 배당금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즉, "일해서 번 돈"과 "돈이 일해서 번 돈"은 서로 다른 ..

2025년 건강한 고배당주 TOP10 | 배당으로 돈 버는 안전한 방법

건강한 고배당 기업을 고르는 정확한 기준 1. 지속 가능한 이익을 꾸준히 내는가? (수익성)회사가 매년 안정적으로 이익을 내야 배당을 유지하거나 늘릴 수 있습니다.일회성 이익(예: 부동산 매각)으로 배당하는 회사는 위험합니다. 확인하는 방법:최근 5년 이상의 순이익 추이를 살핀다.매년 큰 적자가 없고, 이익이 우상향하거나 일정하게 유지되는 회사가 좋다.대표적인 지표:영업이익률(Operating Margin)순이익(Net Income) 증가 여부 2. 배당성향(Dividend Payout Ratio)이 적정한가? 배당성향이란 순이익 대비 얼마를 배당금으로 나눠주는지의 비율을 말합니다. 보통 30%~70% 정도를 적정한 범위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30% 미만이면 너무 인색한 회사일 수 있고 80~90% ..

🎉 2025년 어린이날 연휴, 꼭 가봐야 할 가족 축제 BEST 5

2025년 어린이날 연휴(5월 3일~5일)를 맞아 전국 각지에서 다채로운 축제가 열립니다.가족과 함께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주요 축제 5곳을 일정, 장소, 프로그램, 입장료, 주차 정보까지 자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1.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날 한마당 – 세계로 가는 놀이 기차일정: 2025년 5월 4일(일) ~ 5월 5일(월), 10:00~17:00장소: 서울 종로구 삼청로 37, 국립민속박물관 전역주요 프로그램: 세계 각국의 전통 놀이 체험, 공연, 이벤트 등 35종 / 주한 대사관 및 문화원 13개국 참여입장료: 무료 (현장 선착순)주차: 주차 공간 협소, 대중교통 권장특징: 세계문화 체험으로 아이들의 시야를 넓히는 다문화 교육형 축제자세한 정보 보기 https://www.nfm.go.kr/..

배당소득세 내지 않는 경우 또 있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 배당금 이야기

“자본준비금에서 나오는 배당은 왜 세금을 안 내도 되는 걸까?”이걸 이해하려면, 먼저 회사 돈의 ‘종류’를 이해해야 합니다. 1. 회사 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이익잉여금회사가 장사를 잘해서 번 돈입니다. 이걸로 배당하면 세금을 내야 합니다. “장사해서 번 돈이니까, 세금 조금 내~”라고 하는 거죠.- 자본잉여금 (자본준비금)이건 벌어서 생긴 돈이 아니에요.예를 들어, 투자자들이 회사를 믿고 주식을 비싸게 사준 덕분에 생긴 보너스 같은 돈입니다. 또는 회사를 시작할 때 모은 씨앗돈(자본금) 중 일부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부는 “이건 너네가 장사해서 번 돈은 아니잖아, 그럼 굳이 세금은 안 받아도 돼~” 라고 하는거죠. 2. 법도 한 번 살펴볼까요?법인세법에서는 자본준비금으로 받은 배당금은 세금..

배당금 관련, 초보자들이 정말 많이 하는 실수 5가지

배당금으로 생활비를 만들고 싶은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내용! 1. 배당기준일과 매수일(T+2)을 헷갈린다 배당기준일에만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고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배당기준일 ‘이틀 전’까지 주식을 사야 합니다.이는 매수 후 2영업일 뒤에야 주주로 등록되기 때문입니다. (T+2 제도) 예를 들면, 배당기준일이 12월 31일이면 12월 27일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요. 2. 배당금을 받으면 무조건 이득이라고 착각한다 배당금을 받으면 좋은 것 같지만, 그 다음 날 주가가 배당금만큼 떨어진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배당락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주가 하락분 + 배당금을 합쳐서 전체 가치를 봐야 합니다. 3. 세금(15.4%)을 계산하지 않고 기대 수익을 잡는다 배당금은..

배당소득세의 모든 것 (2025년 최신판)

1. 배당소득세란? 배당소득세는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에게 나눠줄 때(배당금 지급), 주주가 그 배당금을 소득으로 얻는 경우 그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쉽게 말하면, "배당금은 돈 버는 거니까, 세금 좀 내세요!" 하는 거예요. 2. 배당소득세 세율 배당소득은 금융소득에 포함됩니다.세율은 총 15.4%로,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국세 14%- 지방소득세 1.4% (국세의 10%)즉, 배당금 수령 시 증권사가 알아서 배당금의 15.4%를 세금으로 떼고 준다는 뜻입니다.3. 이자소득세와 배당소득세랑 뭐가 달라?구분이자소득세배당소득세발생 원천예금, 적금, 채권 등에서 발생한 이자주식의 배당금과세 방법15.4% 원천징수15.4% 원천징수금융소득 종합과세 여부적용적용특별사항없음해외 배당, 주식배당 등 ..

주식 배당금 Q&A, 이걸로 먹고 사는 사람들도 있다는데?

Q1. 배당금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배당금은 회사가 장사를 해서 남긴 이익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돈입니다.쉽게 말해, 회사가 잘 벌면 주인들(주식 가진 사람들)에게 “고마워요!” 하고 돈을 나눠주는 개념이에요. Q2. 배당금을 받기 위해 주식을 언제까지 가지고 있어야 하나요? 배당 기준일이 뭐예요?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주식을 사면 바로 주주가 되는 게 아니라 2일 뒤에 주주로 등록됩니다.그래서 기준일 2일 전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주식을 가지고 있다가 팔았는데 배당금 받을 수 있을까요? 네,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면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12월 31일을 배당기준일로 정했어요...

쉬운 주식 배당금 이야기, 주식 샀는데 용돈이 나온다고?

먼저, '주식'이 뭔지부터 간단히 짚고 갈게요.주식이란?회사가 돈이 더 필요해서 사람들한테 “우리 회사에 돈 좀 투자해줘!” 하고 부탁하면서, 그 대신 ‘그 회사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작은 조각’을 나눠주는 거예요. 그 조각이 바로 ‘주식’이에요. 즉, 주식을 산 사람은 그 회사의 주인 중 한 명이 되는 거죠. 그럼 배당금은 뭐예요?배당금은 회사에서 번 돈 중 일부를 주인들에게 나눠주는 돈이에요.회사가 장사를 잘해서 돈을 많이 벌면, "이 돈 중에 일부는 주인들(주식 가진 사람들)에게 나눠줘야지!" 하고 현금이나 주식으로 나눠주는 거죠. 예를 들어 볼게요!여러분은 ‘용감한 사자 주식회사’라는 회사의 주식을 1주 샀다고 해요.이 회사는 사자 음료수를 만들어 팔아서 1년에 100억 원을 벌었어요!회사는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