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2

내 국민연금, 연령대 별 예상연금액 확인하는 방법

온라인에서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국민연금공단 사이트국민연금 가입내역 또는 예상 연금액 등을 조회하고 싶다면 국민연금공단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서비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s://minwon.nps.or.kr/jsppage/minwon_main.jsp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국민연금 홈페이지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 내용 - 중단 사유 : 국민연금공단 업무 시스템 데이터 저장공간 확보 작업 - 중단 일시 : 2025. 2. 1.(토) 08:00 ~ 20:00 중단 서비스 -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minwon.nps.or.kr 로그인을 합니다. '개인'이면 '개인인증'을 클릭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공..

국민연금 기초, 꼬박꼬박 내면서 아직 이것도 모르고 있었다면?

1. 국민연금은 누구나 가입해야 하나요?만 18세 이상 ~ 만 60세 미만의 모든 국민은 의무가입 대상입니다. 직장인은 자동 가입되며, 프리랜서·자영업자·전업주부는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60세 이후에는 임의가입 또는 임의계속가입으로 연장 가능합니다. https://amitheonlyone1.tistory.com/entry/%EA%B5%AD%EB%AF%BC%EC%97%B0%EA%B8%88-QA-110-%EA%B5%AD%EB%AF%BC%EC%97%B0%EA%B8%88-%EA%BC%AD-%EB%82%B4%EC%95%BC-%ED%95%A0%EA%B9%8C-%EC%A7%81%EC%9E%A5%EA%B0%80%EC%9E%85%EC%9E%90%EC%99%80-%EC%A7%80%EC%97%AD%EA%B0%80%EC%9..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 완벽 비교! 노후를 위한 연금 3종 세트 전략

퇴직연금과 국민연금, 개인연금 차이 명확히 이해하기 : 3대 연금제도 비교와 통합 전략 노후 준비를 위한 연금 제도는 크게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세 가지로 나뉩니다.이 중 하나만으로는 노후생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세 가지 연금을 적절히 조합해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세 가지 연금 제도의 기본 개념 비교구분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성격공적 연금 (국가 운영)반공적 연금 (기업 운영)사적 연금 (개인 선택)운영 주체국민연금공단기업 + 금융회사금융회사가입 여부의무가입근로자 대상, 반의무자율가입납입 주체개인 + 회사 (또는 개인 단독)주로 회사 (IRP는 본인 추가 납입)전적으로 본인수령 시기만 63세부터점진적 상향 예정퇴직 후 만 55세부터만 55세 이후지급 방식종신형연금형 ..

국민연금이 잘 운영되는 나라들! 연금제도 어떻게 운영하고 있을까?

저를 포함한 우리나라 국민들은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제도에 대한 늘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신뢰하지 않고 있습니다.국민연금의 중요성은 알지만, 나에게까지 혜택이 주어지기는 할까, 내가 낸 돈보다 결국엔 적게 받거나 못 받는 건 아닐까 등 국민연금 얘기만 나오면 신경이 곤두섭니다. 연금 개시 나이가 가까워질수록 아마도 이 불안함은 더해질 거라 생각합니다. 한국 국민의 삶의 만족도는 OECD 38개국 중 33위라고 합니다.개개인마다 사정과 상황이 있겠지만, 한국에 살면서 나라에 대한 만족도가 이렇게 낮다면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요? 아마도 그 많은 원인 중 하나는 노후에 대한 걱정, 국민연금도 있을거라고 봅니다.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

다 망해도 코스트코는 왜 잘될까? 가격, 구조, 비밀 전격 해부!

지난 주말 코스트코를 방문했습니다.10여년 전 방문 이후 두 번째.코스트코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하면 놀랄지도 모르겠지만, 지금까지는 가야하는 이유가 없어서 가지 않았고, 한꺼번에 너무 대용량의 음식이나 물건을 사야한다는 부담감에 갈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그리고 지금은 무조건 온라인 배송으로 음식과 물건을 구매하고 있기에 더더욱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딱 사고 싶은 물건 하나만 사고 나오자고 하며 코스트코에 머무른 시간은 채 30분 남짓이지만 그 사이 참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길거리에도 보이지 않던 이 많은 사람과 차들이 모두 여기 코스트코에 모여 있었구나.''이렇게 사람 많고 복잡한 곳, 한참을 기다려야만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곳에 정말 많은 사람들이 기꺼이 찾아드는구나.''주차장..

국민연금 Q&A 71~80 우리가 낸 돈, 도대체 수익은 나고 있는거야?

국민연금 보험료는 단지 적립만 되는 것이 아닙니다. 수십 년 후를 대비하기 위해 이 자금은 적극적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현재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투자기관으로, 2025년 기준으로 약 1,000조 원이 넘는 기금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Q1. 국민연금 보험료는 어디에 투자되고 있나요?국민연금은 기금운용본부를 통해 보험료를 주식, 채권, 대체투자(부동산·인프라·사모펀드 등)에 분산 투자합니다. Q2. 국민연금의 최근 수익률은 어떻게 되나요?국민연금의 수익률은 매년 국내외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2021년은 +10.86%로 우수했으나 2022년에는 글로벌 금융시장 침체로 -8.22%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2023년은 다시 +9.63%로 회복세를 보였고, 2024년 잠정치는..

실버타운, 여전히 '소수만의 특권' 인가?

실버타운...이름은 많이 들었어도 아직 내 얘기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에, 그리고 내가 갈 수 있는 곳은 아닌 것 같기에 그냥 흘려들었었다.최근 부쩍 나의 노후생활에 대해 고민이 생겼고, 내가 가질 수 있는 선택지가 뭐가 있을까 찾아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중 하나로 실버타운이 눈에 들어왔다.돈이 있든 없든, 나이가 몇이든, 한 번 알아보는 건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실버타운이 뭔지, 입주 조건, 비용이 어떻게 되는지는 찾아보면 쉽게 정보를 구할 수 있다. 문제는,'내가 갈 수 있는 곳인가' 이다. 그리고, 나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생각할 것이다.“실버타운에 갈 돈이면, 그냥 집에서 살면서 간병인 쓰고 배달음식 시켜 먹고, 남은 돈은 손주들 주는 게 낫지 않을까?” 실버타운이란? 실버타운(..

국민연금 고갈 위기의 진실: 적게 내고 많이 받는 사람이 문제다?

왜 국민연금은 고갈 위기에 처했는가? 국민연금은 1988년부터 도입되어 지금까지 약 30여 년간 운영되고 있습니다. 처음 도입 당시에는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가 ‘젊은층이 많고 노인은 적은’ 전형적인 성장기 사회였습니다. 당시에는 일하는 사람이 많고, 연금을 받는 사람은 적었기 때문에 수입이 지출보다 많아 ‘기금 흑자’ 상태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정반대입니다.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0.7명대)이고,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전체의 약 18%를 넘어섰으며, 2030년이면 25%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낼 사람은 줄고, 받을 사람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구조입니다. 여기에 더해, 현재 연금제도는 보험료율은 9%에 불과한 반면, 소득대체율(받는 금액)은 최대 40%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어떻게 이런 가격이 가능해요?" 다이소가 화장품, 영양제, 3,000원 운동복까지 저렴하게 팔 수 있는 이유

다이소에 가면 늘 드는 생각이 하나 있다.“아니, 이게 어떻게 천 원이야?”최근에는 화장품, 건강기능식품(영양제), 심지어 운동복까지 나오고 있다.3,000원짜리 레깅스, 5,000원짜리 반팔 티셔츠.품질도 생각보다 괜찮다.도대체 어떻게 이런 가격이 나올 수 있는 걸까? 그 이유를 알아보기에 앞서, 다이소가 처음 이 세상에 나타났을 때가 떠오른다.생소한 이름은 물론 ‘싼 게 비지떡'이라는 인식이 더 많았다.그런데 신기한 물건이 한 곳에 몰려 있으니 '딱히 사고 싶은 건 없지만, 그냥 한 번 둘러볼까?' 싶은 그런 곳이었다. 그러다 점점 사람들은 '가성비 좋다', '정리용품은 다이소가 진짜 최고야', '다이소에서 사지 않으면 손해보는 기분이야' 등의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고, 누가 시키지 않아도 너도나도..

국민연금 Q&A 71~80 2025 국민연금 개혁안, 뭐가 바뀐걸까?

Q71. 국민연금 보험료율이 얼마나 인상되나요? 보험료가 오르면 실제 얼마를 더 내야 하나요?현재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소득의 9%이지만, 2026년부터 매년 0.5%씩 단계적으로 인상되어 2033년에는 최종적으로 13%까지 오르게 됩니다.즉, 점진적 인상으로 부담을 최소화하되, 장기적으로 더 많은 보험료를 내는 구조로 바뀌게 됩니다. 월소득이 300만원인 경우 현재 9%의 보험료(27만원)를 납부하고 있지만, 보험료율이 13%로 오르면 39만원을 내게 됩니다.즉, 12만원 정도가 추가 부담됩니다. Q72. 소득대체율은 정확히 무엇이고, 어떻게 바뀌나요?소득대체율이란 현역 시절 월 평균 소득 대비 은퇴 후 연금으로 받는 금액의 비율을 뜻합니다.현재 소득대체율은 40%이지만, 개혁안 시행으로 43%까지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