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54429?sid=102
‘위고비’ 맞은 빠니보틀, 놀라운 근황 “못 알아볼 정도”
유튜버 빠니보틀 다이어트 전후 [ENA 예능 ‘지구마불 세계여행3’·유튜브 빠니보틀] 240만 구독자를 보유한 여행 유튜버 빠니보틀이 비만치료제 ‘위고비’를 맞은 뒤 눈에 띄게 체중을 감량한
n.news.naver.com
✅ 위고비(Wegovy)란 무엇인가?
위고비(Wegovy)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개발한 비만 치료 주사제로, 미국 FDA와 유럽 EMA, 그리고 2023년 3월 한국 식약처에서도 정식 허가를 받은 GLP-1 유사체이다.
기존 당뇨약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를 비만 치료용 고용량으로 조정하여 만든 약물로, 식욕 억제와 포만감 증가를 통해 체중 감량 효과를 유도한다.
✅ 위고비의 작용 원리
- 식욕 억제: 뇌의 시상하부에 작용해 배고픔을 감소
- 위 배출 속도 지연: 포만감 유지 시간 연장
- 혈당 조절: 인슐린 분비 촉진
👉 한 마디로, '덜 먹고도 덜 배고프게 만들어주는 약'이라고 볼 수 있다.
✅ 위고비 처방 대상 (대한민국 기준)
식약처 기준 위고비 처방 대상:
- BMI ≥ 30: 고도비만
- BMI ≥ 27 + 비만 관련 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수면무호흡증 등 동반
👉 단순 미용 목적 다이어트에는 처방 불가
✅ 우리나라 실제 투약 사례 및 후기
서울 강남의 클리닉 사례:
- 3개월 투약 시 평균 5~8kg 감량
- 6개월 이상 시 10kg 이상 감량 사례도 다수
환자 후기 요약:
기간 | 체중 감량 | 주요 반응 |
---|---|---|
4주 | -3kg | 식사량 감소, 식욕 억제 |
8주 | -5~6kg | 변비, 메스꺼움 |
12주 이상 | -8~12kg | 정체기 발생, 운동 병행 필요 |
✅ 위고비 임상시험 결과
STEP 시리즈 임상 결과:
- 68주 투약 시 평균 15% 체중 감량
- 일부는 20% 이상 감량
- 위약군은 평균 2.4% 감량
✅ 복용 방법
- 주 1회 피하주사 (복부, 허벅지, 팔 등)
- 0.25mg부터 시작하여 점진적 증량 → 최대 2.4mg
👉 부작용 완화를 위해 낮은 용량부터 시작
✅ 주요 부작용
- 자주 나타나는 증상: 메스꺼움, 구토, 소화불량, 복부 팽만, 변비, 피로감
- 심각한 부작용: 췌장염, 담낭질환, 저혈당, 신장 기능 저하 등
⚠️ 갑상선 수질암 가족력 있는 경우 사용 금지 –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투약
✅ 위고비 vs 삭센다 비교
항목 | 위고비 | 삭센다 |
---|---|---|
성분 | 세마글루타이드 | 리라글루타이드 |
투약 주기 | 주 1회 | 하루 1회 |
감량 효과 | 약 15% | 약 5~8% |
국내 승인 | 2023년 | 2018년 |
보험 적용 | ❌ (비급여) | ❌ (비급여) |
✅ 위고비 가격 (한국 기준)
- 월 1회(4주) 기준 약 30~40만 원
- 비급여 항목 → 본인 100% 부담
👉 병원마다 차이 있으므로 방문 전 문의 필수
✅ 위고비는 '살 빼는 약'이 아닌 '치료제'
위고비는 의학적 개입이 필요한 비만 치료제이며, 식습관·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과 병행해야 효과가 높다.
비만은 외형 문제가 아니라 고혈압, 당뇨,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합병증의 원인이 되므로 단순 다이어트와는 구분된다.
📌 비만 치료제 시장, 어디까지 성장할까? 위고비 이후 주목해야 할 변화
🔍 1.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 규모 및 성장률
- 2023년 기준 약 60억 달러(약 8조 원)
- 2030년까지 약 1000억 달러(약 135조 원) 이상 성장 예상
- 연평균 성장률(CAGR) 30% 이상
🚀 급성장의 이유는?
- 전 세계 성인의 40%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
- 비만이 만성 질환으로 인식되며 보험 적용 논의 확대
- GLP-1 계열 치료제의 강력한 감량 효과
- 헐리우드와 유명 인사의 사용으로 대중화 가속
🌍 2. 주요 제약사들의 시장 경쟁 구도
제약사 | 주요 제품 | 비고 |
---|---|---|
노보 노디스크 | 위고비, 삭센다 | 시장 점유율 1위 |
일라이 릴리 | 몬주로 (티제파타이드) | 차세대 1강으로 급부상 |
암젠 | MariTide (임상 진행 중) | 1달 1회 투약 가능형 개발 중 |
화이자 | GLP-1 유사체 | 부작용 이슈로 개발 중단 |
LG화학, 한미약품 | 국산 GLP-1 치료제 | 개발 중, 추격 중 |
📈 3. 치료제에서 헬스케어 산업 전체로 확장
- GLP-1 계열 약물은 체중 감량 외에도 심혈관질환, 간질환, 알츠하이머 예방 가능성 관찰 중
- 제약 산업 → 만성질환 관리 → 디지털 헬스케어 → 보험 연계로 산업 전반 확대 중
💡 4. 위고비 이후 변화: 소비자, 의료계, 사회 인식 변화
🔄 소비자 변화
- 식욕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인식 확산
- 다이어트는 의지의 문제가 아닌 생물학적 조절 문제라는 이해 증가
- 약물 의존에 대한 경계심도 일부 존재
🏥 의료계 변화
- 비만은 적극 치료가 필요한 만성질환이라는 인식 확산
- GLP-1 계열 약물 처방 증가
- 미국은 일부 보험 적용, 한국도 향후 논의 가능
💰 보험/정책 변화
- 고가 치료제인 만큼 건강보험 적용 여부가 핵심 이슈
- 선진국에서는 고도비만 환자 대상 보험 적용 시작
🇰🇷 5. 한국 시장 동향
- 2023년 위고비 처방 허용 이후 수요 급증
- 비급여(본인 부담 100%) + 고가(30~40만 원/월)로 접근성 낮음
- 국내 기업(LG화학, 한미약품 등)도 개발 착수 → 향후 국산 약물로 가격 부담 완화 기대
https://www.fntimes.com/html/view.php?ud=2024110817575972046df2366790_18
“위고비·삭센다 단점 보완”…국내 제약사들 비만치료제 개발 속도 - 한국금융신문
국내 제약사들이 비만약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쏘아올린 비만치료제 ‘위고비 열풍’에 국내 시장까지 요동치고 있어서다. 이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기
www.fntimes.com
비만 치료제 시장은 이제 막 시작된 블루오션이다.
GLP-1 계열 약물은 단순한 다이어트를 넘어서,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관리 플랫폼’으로 진화 중이다.
앞으로는 제약사뿐 아니라 헬스케어 스타트업, 보험사, IT 기업까지 진입할 수 있는 초거대 시장으로 확장될 것이다.
'다이어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지방 감소 효과? 부작용은? '잔티젠'의 모든 것 (2) | 2025.05.10 |
---|---|
“나는 날씬하다”는 생각만으로 진짜 살이 빠질까? 뇌 과학과 심리학으로 본 놀라운 다이어트 효과 (1) | 2025.04.10 |
"뚱보균 때문에 살이 안 빠진다고?” 진짜일까?! (2) | 2025.04.02 |
붓기에 대한 모든 것 5편 : 생리 전 붓기 심한 이유와 완화 방법 (0) | 2025.03.22 |
붓기에 대한 모든 것 4편 : 붓기를 부르는 잘못된 습관 5가지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