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경제 이야기

세금 아예 안 내는 통장? 지금도 가입 가능한 비과세 계좌 총정리

나만궁금해?! 2025. 5. 8. 08:00
반응형

 

 

 

1원의 세금도 용납할 수 없다!!

너무 이기적인 말이죠?

어쨌든 서민의 입장에서 조금이라도 절세할 방법을 찾아야 하니, 이번에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상품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은행이나 투자로 이자를 받거나 돈을 벌면 보통 세금을 내야 합니다. 
그런데 ‘비과세 계좌’는 말 그대로 세금을 아예 안 내도 되는 특별한 통장이에요.
나라에서 "이건 꼭 장려하고 싶다!"는 이유로 만든 거라고 할 수 있어요. 

 

1.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이건 어떤 통장인가요?
여러 금융상품(예금, 펀드, 주식 등)을 한 계좌에 모아서 관리하고, 거기서 번 이익에 대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만능 통장"입니다. 

 

-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

일반형:

  • 만 19세 이상 거주자
  • 만 15세 이상, 19세 미만 근로소득자

서민형:

  • 총급여액 : 5천만원 이하 근로자
  • 소득금액 : 3천8백만원 이하 사업자

농어민형:

  • 농어민(소득금액 3천8백만원 이하)

1인 1계좌만 가능, 중복 가입은 불가능해요. (은행, 증권사 중 하나 선택)

의무가입 기간은 3년으로, 3년 이상 유지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얼마나 넣을 수 있나요?
연간 2천만원 한도, 총 1억원까지 넣을 수 있어요.

 

- 세금 혜택은?
일반형: 200만 원까지 비과세,

서민형, 농어민형: 400만 원 까지 비과세, 
그 이상의 수익에 대해서는 낮은 세금(9.9%)만 내면 됩니다.

이것을 저율 분리과세라고 불러요.

 

📘 비과세란? 수익에 대해 아예 세금을 내지 않는 것
📘 분리과세란? 수익에 대해 낮은 세율로 따로 세금을 내는 것 (보통 9.9%)

 

 

그럼 여기서, 왜 '분리과세'라는 말이 생겼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분리과세의 반대말(?)은 뭘까요? 

'종합과세'입니다.

 

종합과세는 여러 가지 금융소득(예: 이자, 배당 등)을 합산해서 누진세율(6%~45%)을 적용해 세금을 계산하는 방식이에요. 

분리과세는 특정 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치지 않고, 낮은 고정 세율(보통 9.9%)로 따로 과세하는 방식으로, 소득이 많을수록 분리과세가 유리할 수 있어요.

 

 

- ISA 계좌의 장점은 뭘까요?
일반 금융계좌였다면 수익금에 대해 15.4% 과세할텐데 ISA 계좌에서는 200만원, 400만원까지 비과세되는 금액이 있어서 세금을 절약할 수 있어요.

 

예금부터 ETF까지 다양한 상품에 통합 투자가 가능해요. 예금, 펀드, ETF, 채권 등 다양한 자산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수익이 발생해도 당장 세금 내지 않고 재투자 되므로 세금 이연에 복리 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요. 

📘 세금이연이란? 수익이 나더라도 당장 세금을 내지 않고, 나중에 일정 시점에 세금을 내는 것이에요.

📘 복리효과란?이자에 또 이자가 붙어 시간이 지날수록 눈덩이처럼 자산이 불어나는 현상이에요.

 

일반형의 경우, 소득 제한 없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어 가입 대상이 넓습니다. 

 

예외적으로 해외이주, 폐업, 사망, 장해, 천재지변 등 사유 시 세제혜택을 유지한 채 해지할 수 있어요.

일정 조건(해외이주, 폐업, 사망, 장해, 천재지변 등)의 경우, 중도 인출도 가능합니다. 인출 사유에 해당하는 실제 필요 비용 범위 내에서만 중도 인출이 가능해요. 

 

 

ISA 계좌에도 아쉬운 점은 있겠죠?

 

세제 혜택이 크지는 않아요. 비과세 한도가 일반형은 200만 원으로 너무 적습니다.

 

3년 이상 유지해야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개설 후 3년 이내 해지하면 세제혜택이 전부 취소되고 일반 금융소득세(15.4%)가 부과됩니다.

 

 

ISA 계좌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좀 알아봐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비과세 한도가 작기는 하지만 분리과세가 되는 만큼 활용할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한때 ISA 계좌 수익률이 너무 저조하여 기사화된 적이 있었는데, 요즘은 어떤지도 궁금해집니다. 

 

 

 

2. 장병내일준비적금

 

- 이건 어떤 통장인가요?
현역 병사들이 군 복무 중 돈을 모으면, 나라가 그만큼 더 얹어주는 특별한 적금이에요.
군 복무를 마친 뒤, 사회에 나올 때 목돈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가 제도예요.

나라가 지원금 + 5% 수준 은행이자 + 세금 면제 혜택까지 줍니다!

 

병역의무 이행기간 중 급여를 적립함으로서 합리적인 저축습관 형성을 돕고, 전역 후 목돈마련을 지원하여 사회로 진출하는 첫 발걸음을 성공적으로 내디딜 수 있는 자산형성을 위한 지원 제도입니다.

 

-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

국방부(현역, 상근예비역), 법무부(대체복무요원), 병무청(사회복무요원)

 

- 얼마나 넣을 수 있나요?

1인 2계좌(동일은행 불가), 각 계좌별 최대 월 30만원, 개인별 최대 월 55만원

 

2024년 부터는 나라에서 100% 매칭 지원금을 준다고 합니다. 

와우! 꽤 큰 금액이 적립되네요!

국방부 홈페이지

 

 

- 세금 혜택은?

이자 100% 비과세 (세금 한 푼도 없음)

 

- 장점은?

 

나라 지원금은 자동으로 입금되며, 별도 신청 불필요

 

- 단점은?
군 복무 중에만 가입 가능해요.
복무 끝나면 자동 해지됩니다.

 

적금 만기일 도래 전 중도해지 시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및 정부지원금을 지원받을 수 없어요. 

복무 중 조기전역자는 적금 만기일까지, 신분전환(→간부, 사회복무요원)을 한 경우에는 적금 만기일 및 소집해제일까지 유지 후 해지해야 세제 혜택 및 정부지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국방부 : https://mnd.go.kr/mbshome/mbs/mnd/subview.jsp?id=mnd_011302060000

 

 

 

3. 비과세 종합저축 (2025년 12월 31일 까지 가입 가능)

 

- 이건 어떤 통장인가요?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일부 계층을 대상으로 금융회사 저축금액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부여해 주는 통장이에요.

 

-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
만 65세 이상자, 장애인, 독립유공자, 국가유공상이자, 기초생활수급자, 고엽제후유의증환자, 5·18민주화운동부상자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자는 제외)

 

- 얼마나 넣을 수 있나요?
최대 5,000만 원까지 넣을 수 있어요.

 

- 세금 혜택은?
이자 전액 비과세

 

 

 

비과세 계좌는 말 그대로 세금을 아예 안 내는 혜택이에요.
내가 해당 조건에 해당한다면, 놓치지 말고 꼭 챙기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