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온라인에서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국민연금공단 사이트
국민연금 가입내역 또는 예상 연금액 등을 조회하고 싶다면 국민연금공단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서비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s://minwon.nps.or.kr/jsppage/minwon_main.jsp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
[국민연금 홈페이지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 내용 - 중단 사유 : 국민연금공단 업무 시스템 데이터 저장공간 확보 작업 - 중단 일시 : 2025. 2. 1.(토) 08:00 ~ 20:00 중단 서비스 -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
minwon.nps.or.kr
- 로그인을 합니다.
- '개인'이면 '개인인증'을 클릭합니다.
- 다양한 방법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 등이 있다면 '인증서로그인'으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요즘은 인증서 등록도 번거롭고 귀찮은 일이라 '간편인증로그인'을 많이들 사용하고 있습니다.
- '간편인증로그인'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사용 중인 인증서를 클릭, 본인인증 정보를 입력한 후 '전체동의', '인증 요청'을 하면 됩니다. '간편인증로그인'이라고 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네이버 ,카카오톡, PASS 등에서 인증서를 미리 발급받아야 가능합니다. 첫 발급 시에는 번거롭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하나 정도는 발급받아 저장해두시면 유용합니다.
- '인증요청'을 하고 해당 앱으로 이동하면 인증하라는 알람이 뜹니다. '네이버'를 사용한다면, 아래와 같이 인증 알람이 옵니다. 클릭 후 인증한 후, 다시 국민연금공단 사이트로 돌아와 '인증완료'하면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나의 국민연금 가입내역이 궁금하다면 '가입내역조회'를, 예상연금액을 조회하고 싶다면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예상연금액은 말 그대로 현재 소득으로 만 60세 또는 연금수급 가능시까지 계속 납부하는 것을 가정하여 계산된 금액입니다. 지금까지 납부한 금액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라고 절대 절대 착각하면 안됩니다. 납부한 금액으로만 계산해서 보여주면 너무 적다고 생각할까봐, 이렇게 만 60세 또는 연금수급 가능시까지 계속 납부하는 것을 가정해서 보여주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많이 납부하면 많이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의 메세지를 주기 위함도 있을 것 같습니다.
2.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사이트
-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www.fss.or.kr/fss/lifeplan/lifeplanIndex/index.do?menuNo=201101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www.fss.or.kr
- 국민연금공단과 마찬가지로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연금포털 사이트가 국민연금공단과 다른 점은 이름 그대로 내가 가입한 연금상품을 모두 조회해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국민연금은 물론,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모두 한번에 조회해볼 수 있어 편리합니다.
- '연금 계약정보' 탭에서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계약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각에 대한 '계약상세' 내용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가입내역 등등... 모두 알아야 할 내용이지만 우리가 가장 궁금한 건 뭘까요?
바로 '미래에 내가 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입니다.
- '예시 연금액' 탭에서 연령대별로 받을 수 있는 예상연금액 확인이 가능합니다. 물론 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예상연금액도 말 그대로 '예상'된 금액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으니 감안하고 봐야 합니다. 그래도 어느 정도 감안하다고 해도 대략적으로 몇 세에 매달 얼마씩 들어오겠다는 예상이 가능하니, 유익한 정보라고 생각합니다.
- 그리고 이 사이트에서는 내 가족의 연금 내역을 파일로 올려 내 연금과 함께 조회해볼 수도 있습니다. 다만, 나와 내 배우자의 연령이 다를 경우, 연령 차까지 고려하여 나이에 맞게 보여주는 것은 아니라서 그 부분은 좀 아쉬웠습니다.
예전보다 정보 조회가 많이 쉬워졌습니다.
번거롭다 생각하지 말고, 내 연금액이 얼마인지 미리미리 확인하면 미래를 준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배당금 Q&A, 이걸로 먹고 사는 사람들도 있다는데? (1) | 2025.04.30 |
---|---|
쉬운 주식 배당금 이야기, 주식 샀는데 용돈이 나온다고? (1) | 2025.04.29 |
국민연금 기초, 꼬박꼬박 내면서 아직 이것도 모르고 있었다면? (3) | 2025.04.26 |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 완벽 비교! 노후를 위한 연금 3종 세트 전략 (0) | 2025.04.25 |
국민연금이 잘 운영되는 나라들! 연금제도 어떻게 운영하고 있을까? (2) | 2025.04.24 |